요즘 고물가, 고금리에 난방비 폭탄까지
겹치면서 지출은 줄이고 각종 할인 혜택을
활용하는 등의 "짠테크"가 인기입니다.
실제 G마켓에서 가계부 판매량이 79%
증가하는 등 알뜰한 소비가 유행처럼
확산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최대한 거의 모든 국민들에게
해당하면서 평소에 알아두면 짠테크에
아주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보
10가지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간단히 개요만 알려드릴 테니 해당 내용을
포털에서 다시 검색하셔서 자세한 내용
찾아보시고 알뜰한 절약생활에 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
첫 번째
해마다 새로 생기고 변경되는 정부지원금을
일일이 찾아보지 않아도 한 번만 신청하면
본인이 받을 수 있는 복지혜택을 한 번에
확인하거나 맞춤형으로 알려주는 '보조금 24'
제도로 최근에 생긴 '복지멤버십' 서비스를
신청하면 개인 맞춤형 복지 정책을
생애주기별로 자동으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두 번째
탄소 포인트제(서울시→에코마일리지),
탄소 중립실천 포인트제,
자동차 탄소 포인트제로
전기, 상수도, 도시가스 및 지역난방 등의
사용량을 줄이거나, 친환경 활동에
동참하거나 자동차 주행거리를 줄이면
현금이나 포인트 등의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들이 있습니다.
세 번째
여러 가지 숨어 있는 돈을 찾는
방법 4가지입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의 '휴면예금 찾아줌'이나
금융감독원 파인의 '내 계좌 한눈에' 또는
어카운트인포(payinfo.or.kr)에서 저축을 한 뒤
일정 기간 찾아가지 않은
휴면 예ㆍ적금을 찾을 수 있습니다.
'내 보험 찾아줌' 사이트에서는 만기나 지급
사유가 발생한 뒤에도 찾아가지 않은
휴면보험금을 한 번에 조회하고
청구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금융결제원의
'계좌정보 통합관리서비스'나
여신금융협회의 '카드포인트 통합조회 시스템'
에서는 조금씩 쌓인 카드 포인트를 카드사마다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한 번에 확인하고
바로 현금화활 수 있으며,
추가로 '안심상속 원스톱 서비스'에서는
잠자는 조상땅 찾아주기 서비스부터
사망자의 금융거래, 토지, 자동차, 세금 등의
재산을 통합신청 한 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통신비 미환급금을 돌려받는 방법으로
'스마트 초이스' 홈페이지에서 통신 미환급액과
유료방송 미환급액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휴대전화 구입 시에 지원금을 받지 않은
분들은 선택약정 할인 25%도 받을 수
있는데, 이 부분도 확인해 보실 수 있습니다.
다섯 번째
내일 배움 카드입니다.
현직 공무원이나 만 45세 미만의
고임금 대기업직원, 고소득 자영업자 등
일부는 지원에서 제외되지만 상당수 국민들이
자격증 취득이나 직업훈련 등의
교육비로 300만 원에서 500만 원의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여섯 번째
의료비 절약 방법들입니다.
정부의 의료복지제도로
본인일부부담 산정특례제도 본인부담 상한제,
암환자 의료비 지원, 재난적 의료비 지원,
긴급복지의료비 지원 등의 제도들을 통해
사후환급이나 의료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만 65세 이상 고혈압, 당뇨병 환자분들은
보건소에서 등록관리를 신청하면 한 달에
진료비 1,500원, 약제비 2,000원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약국 할증 시간도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약국 조제료 야간가산제도가 있어서 평일은
오후 6시부터, 토요일은 오후 1시부터 다음 날
오전 9시 사이, 일요일과 공휴일에는
약국 조제료가 30% 할증되니 이 시간대를
피하시면 조금이나마 절약할 수 있습니다.
일곱 번째
알뜰교통카드제도로 버스, 지하철 정류장까지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하면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해 주고,
카드사의 추가 할인까지 더해져서 최대 30%의
교통비를 절약할 수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청년은 38%,
저소득층은 최대 50%까지 혜택이 커졌습니다.
여덟 번째
국세, 지방세, 건강보험료, 국민연금보험료 등
각종 미환급금을 찾는 방법입니다.
각 부서 홈페이지를 검색해서 해당 메뉴를
찾을 수도 있지만, 정부 24 홈페이지에
로그인해서 '미환급금 찾기' 메뉴를 통해
8가지 환급금과 과오납금을 한 번에
조회해 보실 수 있습니다.
아홉 번째
온누리상품권입니다.
명절이 있는 달이나 정부에서 진행하는 행사
기간에 10% 할인받아 구입해서 전통시장
뿐만 아니라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소형점포에서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소득공제도 40%나 되고, 60%만 사용하면
잔액을 현금으로 환불받을 수 있기 때문에
잘만 활용하면 실제로는 17%까지
할인받을 수 있습니다.
열 번째
재테크의 기본인 금융감독원의
'금융상품한눈에' 사이트입니다.
대출, 저축 모두 현재 가장 금리가 낮거나 높은
금융상품들을 직관적으로 순서대로 정렬해서
볼 수 있고 연금저축이나 퇴직연금,
실손의료보험, 자동차보험도
수익률, 보험료 등을 순서대로
비교해 볼 수 있습니다.
최근 고물가, 고금리, 난방비 인상 등으로
어려워진 생활 속에서 모든 국민들이
알고 있어야 하는 필수적인 알뜰 생활정보들을
10가지로 나눠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10가지 모두 보편적으로
대부분 국민들에게 적용되는 내용들이니까
기본 상식으로 알아두시면
짠테크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희지니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난방비 60만원 지원해주는 에너지바우처 (0) | 2024.12.06 |
---|---|
올해부터 바뀌는것들 (2) | 2023.02.15 |
탄소 포인트 제도 (4) | 2023.02.13 |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플러스 제도 (19) | 2023.01.06 |
고향사랑기부제 (23) | 2023.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