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지니 News

정부지원 건강복지제도

by 지니 기자 2022. 11. 1.
728x90
반응형

요즘 많이 쌀쌀해진 날씨에 건강관리 잘하셔야

하는 시기입니다.

 

어르신들, 부모님들에게 제공되는 여러 가지

복지제도들 중에서 의료와 건강과 관련된

다양한 복지제도들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60세 이상 정부지원 복지제도

혹시 모르고 계신 제도들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고 정보에 약한 우리 부모님들에게도

알려드리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먼저 현재 진행 중인 독감 인플루엔자 무료

예방접종을 비롯해서 폐렴구균, 대상포진 등

국가 예방접종이 있으며, 올해 기준으로

주민등록상 57년 12월 31일 이전 출생하신

분들은 인플루엔자 백신은 연 1회, 폐렴구균은

13가 백신은 1회 접종 후에는 재접종이

필요하지 않고, 23가 다당류 백신의 경우에는

65세 이전에 맞았거나 접종 5년이 지났다면

재접종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은 얼마 전 접종을 시작해서

올해 12월 31일까지 가까운 보건소에서

무료로 맞으시면 됩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은 연중 보건소에서 무료로

맞으실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백신하고 폐렴구균 백신은 동시에

접종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다음으로 대상포진도 50대가 넘어가면서

신체 면역력이 떨어지거나, 여성은 폐경기를

겪으면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중년 이후에

면역력이 떨어지는 요즘 같은 시기에 대상포진

예방접종을 하면 좋다고 합니다.

 

국가에서 대상포진 예방접종은 50세 이상으로

허가가 나 있지만, 권장 연령은 60세 이상이라고

합니다.

 

백신 접종 후 5년 정도까지 효과가 최대로

지속되고 이후부터 줄어들며 노년층에게

발생할 확률이 젊은이보다 8배나 높기 때문에

어르신 분들에게 필요한 예방접종입니다.

 

단, 지역별로 무료로 접종하는 대상자가 조금씩

차이가 있는데, 어떤 지역은 65세 이상은 모두

무료인 곳이 있는 반면에 50세부터 지원하지만

기초생활수급자만 해당한다거나 일부

자부담금이 있는 지역, 재산 소득과 무관하게

70세 이상만 무료인 경우 등 차이가 있어서

해당 지역 보건소에 문의해 보셔야 합니다.

 

다음은 시각장애인 안마바우처 서비스입니다.

정부에서 비용의 90%를 지원하고 본인

부담금은 10%만 내고, 안마 서비스를 받을 수

있습니다.

안마를 받으시면서 피로해복이나 건강증진

효과도 있지만, 정부의 세금으로 시각장애인

분들이 도움을 받을 수도 있는 것입니다.

 

보건복지부 인증을 받은 안마 센터에서

최소 2년 이상 안마 수련기관의 의료적 전문

교육을 수료하고 안마사 자격증을 취득한

전문 안마사들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총 10개월간 한 달에 4회 주 1회 60분 동안

진행되며, 회당 4만 원씩 한 달에 16만 원인데

정부에서 90%인 14만 4천 원을 부담하고

본인 부담금은 1만 6천 원만 내시면 됩니다.

 

한 시간 안마받고 4천 원인 셈인데, 신청 대상은

만 60세 이상 기준 중위소득 140% 이하 또는

기초연금 수급자이기 때문에 65세 이상이신

분들의 70%가 소득 기준에 충족되는 겁니다.

 

근골격계, 신경계, 순환계 질환이 있는

분들이어야 하는데 고혈압, 고지혈증 같은

지병이 아니더라도 근육통, 신경통 같은

가벼운 증상만 있어도 가능하기 때문에

대상자가 많습니다.

 

신청은 지자체별로 다르지만, 현재 예산이

남아있는 곳은 거의 없을 정도로 추측됩니다.

 

대부분 1 ~ 2월에 주민센터에서 신청을 받고

예산이 소진되면 종료되기 때문에 미리

알아두셨다가 연초에 가능한 한 빨리

신청하시면 좋겠습니다.

 

다음은 고혈압, 당뇨병 등록관리 서비스

입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 같은 심뇌혈관질환이

우리나라의 주요 사망원인이면서 질병

부담이 크기 때문에 거주하는 지역의 보건소

고혈압, 당뇨병 등록 센터에 등록을 하면

병원 진료일 알림 서비스나, 상담 서비스 등을

제공해주면서 관리해주고, 특히 65세 이상인

분들은 진료비 1,500원과 약제비 2,000원,

고혈압, 당뇨병 모두 진료받는 경우는 약제비

4천 원을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전국 모든 지역은 아니며, 현재 사업이 진행

중인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병원과 약국도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관리

병ㆍ의원', '고혈압ㆍ당뇨병 등록관리 약국'

이라는 스티커가 붙어 있는 의료기관과

약국에서 등록관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보건소에 등록하실 때 미리 확인하셔야 합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주소지 관할 보건소나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또는 질병관리청

만성질환 예방과(043-719-7441)에 문의

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틀니, 임플란트 지원사업입니다.

완전틀니의 경우에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이

대상으로 윗잇몸이나 아랫잇몸에 치아가

하나도 없는 경우에 지원받을 수 있고,

부분틀니는 만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남은 치아를 이용해서 부분틀니를 만들 수 있는

경우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소득에 따라 본인부담금 일부가 발생하며

기본적으로 건강보험에 가입되어 있는 분들은

본인부담률이 30%이고, 차상위계층은

5 ~ 15%, 의료급여 수급자 1종에 해당되는 

분들은 5%, 2종은 15%가 적용됩니다.

틀니는 7년에 1회 지원되며, 7년 이내에

본인 부주의로 새로운 틀니를 제작하게 되면

건강보험 적용이 안 된다는 점 알아두시면

좋겠습니다.

임플란트도 마찬가지로 만 65세 이상이신

분들 중에서 일부 치아가 빠진 경우에

지원받을 수 있으며, 치아가 완전히 없는

경우에는 해당이 안 됩니다.

 

부분틀니를 지원받으셨더라도 중복으로

최대 2개까지 임플란트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건강보험 가입자 분들은 자부담금이

30%, 차상위계층은 10 ~ 20%, 의료급여

1종은 10%, 2종은 20%가 적용됩니다.

 

신청방법은 틀니, 임플란트 모두 일반 건강보험

대상자 분들은 치과나 건강보험공단 지사에

대상자 등록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의료급여 수급자분들은 치과나 주민센터에

등록 신청하시면 됩니다.

 

다음은 만 60세 이상에 해당하는 치매검진

지원입니다.

선별검사는 만 60세 이상 모두가 무료이고,

진단ㆍ감별검사는 만 60세 이상 중에서

중위소득 120% 이하인 분들이 해당합니다.

 

전국 보건소에서 치매 선별검사와 진단검사를

무료로 받으실 수 있으며, 검사 결과 정밀

검사가 필요하다면 협약병원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때 15만 원 한도 내에서 진단검사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고, 11만 원 한도 내에서

혈액검사나 간 기능 검사 등의 감별검사를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어서 치매 치료제를 복용 중인 만 60세

이상 치매환자 중에서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에 해당하신다면 치매치료

관리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제비와 진료 비위 본인부담금을 월

3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치매 관련 지원 신청은 보건소에

설치되어 있는 치매안심센터에서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다음은 노인 안검진 및 개안수술

지원제도입니다.

노인 안검진은 동공을 통해 눈동자 내에

구조물을 관찰하는 안저검사를 비롯해서

안압검사, 굴절검사 등의 검사를 지원하는

제도로 만 60세 이상 어르신이 지원대상입니다.

 

신청자가 많을 경우 저소득층을 우선

지원하고, 노인 개안수술을 백내장이나

망막질환 같은 안과에서 수술이 필요한

질병의 수술비용을 전액 지원하는 제도로

건강보험이 적용되는 안과 관련 항목들이면

지원 가능합니다.

 

만 60세 이상의 기초생활수급자나 차상위계층,

한부모가족이 해당합니다.

 

역시 보건소에 신청하시면 심사를 통해

1주일 이내에 선정 여부가 통보됩니다.

 

마지막으로 무릎 인공관절 수술비 지원입니다.

노인의료 나눔 재단에서 만 60세 이상 기초,

차상위계 층하고 한부모가족에 해당하는

분들 중에서 퇴행성 관절염 등으로

무릎 인공관절 수술이 필요한 분들에게

한쪽 무릎 기준으로 120만 원을 지원합니다.

 

신청은 지역 보건소에서 신청하시면 되고

노인의료 나눔 재단 홈페이지에서 더 세부적인

내용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노년층에 해당하는 의료와 건강과 관련된

복지제도들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이 외에 기본적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으로

받을 수 있는 장기요양시설급여나 재가

서비스 급여, 보훈 재가복지서비스,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같이 도움이 필요한 어르신들을

돌봐드리는 서비스들도 있으니 노년층을

위한 복지제도 잘 활용하시면 좋겠습니다.

728x90
반응형

'희지니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운전 표지  (35) 2022.11.09
바뀌는 연말정산  (32) 2022.11.07
11, 12, 1월 지자체 지원금  (33) 2022.10.31
2022 코리아 세일 페스타  (30) 2022.10.30
스포츠강좌 이용권  (30) 2022.10.29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