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희지니 News

보조금24 가족맞춤 안내

by 지니 기자 2022. 11. 30.
728x90
반응형

정부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복지정보

여러분들은 얼마나 알고 계신가요?

 

코로나로 인해 재난지원금을 비롯해서

다양한 지원금 제도가 많이 알려지기

시작했고, 정부가 바뀔 때마다 새로운

복지제도들이 새로 생기거나 변경되었습니다.

 

여기에 각 자치단체별로 지원제도들이

따로 있어서 종류가 정말 많습니다.

보조금 24 가족 맞춤 안내

이런 복지정보들을 뉴스나 유튜브를 통해서

알게 되는 경우도 많지만, 보조금 24가

생기면서 보조금을 한 번에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게 됐습니다.

여기에 추가로 따로 살고 계신 부모님

복지혜택들도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11월 3일 기준으로 보조금 24에 등록된

보조금은 중앙부처(445개), 자치단체(4,782개),

공공기관과 교육청(975개) 등

총 10,300여 개나 됩니다.

 

이 글은 보시는 분들은 분명히 보통 다른

분들보다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 정보에 대해

더 많이 알고 계실 거라 생각하지만,

정보에 취약한 여러분들 부모님들의

복지혜택이나 지원금에 대해서는 부모님 대신

알아봐 드리고,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드린 적이 있으신가요?

멀리 계시는 부모님들께 유튜브 영상을

카톡으로 공유해 드리는 정도는 해보신

분들이 계시겠지만, 직접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는지 알아봐 드린 분들은 거의

없으셨을 겁니다.

 

왜냐하면 그동안에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에 거주하는 가족이 받을 수 있는

혜택만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11월 22일부터 다른 곳에 거주하는 가족의

복지혜택까지 확인할 수 있는 법이 시행

되었습니다.

 

보조금 24는 세 모녀 사건 같이 정부의

복지지원제도를 모르고 어렵게 생활하다가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례들이 계속해서

발생하면서, 국민이 일일이 정부와 지차체에서

제공하는 복지 혜택을 검색해보고 정보를

확인하는 불편을 개선하기 위해 도입

되었습니다.

아직 제도가 시작된 지 얼마 되지 않아서

처음에는 주민센터에 직접 찾아가서 방문

신청만 가능했다가 정부 24 내에 

보조금 24에서 온라인으로 확인하고

신청할 수 있게 됐고, 중앙정부 복지제도만

서비스하다가 점점 지자체 복지혜택들도

추가되는 등 현재도 계속해서 개선되고

있는 중입니다.

 

실제로 보조금 24를 이용하시는 분들은

일부 잘 활용하시더라도 주민센터에

직접 방문해서 서면으로 신청해야

한다거나 온라인으로 할 때에는 정부 24

회원만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회원 가입하고

본인 인증하는 절차가 우리 부모님들이나

연세가 많으신 분들에게는 복잡하고

어려워서 아직도 본인이 받을 수 있는

정부지원 혜택들을 못 받는 분들이

많으십니다.

 

자녀분들이 대신 알아봐 드리고 싶어도

지금까지는 주민등록상 동일 세대에

거주하는 가족이 받을 수 있는 혜택만

확인할 수 있어서 따로 사는 부모님의

혜택은 확인할 수가 없었습니다.

 

하지만 11월 24일부터 <수혜적 공공서비스

목록 관리 및 맞춤 안내에 관한 규정> 고시를

개정하고 시행하였습니다.

 

그래서 가족관계 등록부상 분리세대 가족까지

배우자 및 직계 존비속의 혜택까지 확인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름은 '보조금 24 가족 맞춤 안내'로

전체적으로는 12월 중순부터 확인할 수 있지만,

시범지역에서는 바로 따로 사시는 부모님

혜택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전히 개인정보는 민감한 문제라서 가족이

이용 동의를 신청한 다음에 본인이 이에

동의하면 분리세대 가족까지 혜택을

열람할 수 있습니다.

 

가족 열람에 대한 이용 동의는 정부 24

홈페이지에 회원 가입한 다음에,

보조금 24에 접속해서 '가족 등록 / 관리'에

들어가셔서 '맞춤 안내 가족관리' 메뉴에서

자녀분들은 '가족에게 자료제공 요청하기'

에서 '가족 추가하기'로 부모님을 추가하시고

부모님들은 '내 자료 가족에게 제공하기'를

누르고 내 자료 제공 가능한 가족을 찾아서

'자료 제공할게요'를 누르면 됩니다.

 

참 아쉽게도 편리하게 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여전히 양쪽 모두 정부 24 회원가입을 하셔야

합니다.

 

사실 이런 과정도 우리 부모님들은 어려우실 수

있는 겁니다.

인터넷 사용이 익숙하지 않으신 어르신 분들은

신분증 가지고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

방문하셔서, 분리세대 가족 혜택 확인을 위한

동의서를 제출하시면 됩니다.

 

현재는 시범 지역에서만 가족 맞춤 안내를

이용하실 수 있고, 전국적으로는 12월 중순에

시작되며 시범 지역인 경북지역과

광주광역시에서는 12월 7일까지

'가족 맞춤 안내'를 이용하시고 이용후기를

남기시면 50분께 커피 쿠폰을 드리는

이벤트를 하고 있습니다.

정부 24 홈페이지나 앱에서 가족 맞춤 안내를

이용하고 이용후기를 등록하면 됩니다.

 

24일부터 고시가 개정되면서 앞으로 인터넷

사용이 어려우신 부모님까지도 복지혜택을

챙겨드릴 수 있게 됐습니다.

 

민감한 개인정보라서 가족들끼리도 여전히

조금은 복잡한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점이

아쉽지만, 앞으로 부모님들 복지혜택도

자녀분들이 꼼꼼하게 챙겨드릴 수 있게 된

점은 좋은 것 같습니다.

 

보조금 24는 최초에 가입해서 나에게 해당하는

보조금이나 복지혜택을 모두 확인하셨더라도

계속해서 업데이트해서 새로운 혜택들이

추가되기 때문에 최근에 들어가 본 적이 없으신

분들은 혹시 새롭게 추가된 내용이 없는지

한 번씩 로그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728x90
반응형

'희지니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월에 바뀌는 정책  (14) 2022.12.12
노령연금과 기초연금  (2) 2022.12.02
1회용품 줄이기  (5) 2022.11.28
우리시장 빠른배송 서비스  (8) 2022.11.26
백신 집중 접종기간 (11. 21 ~ 12. 18)  (1) 2022.11.26

댓글